소개
사회복지상담학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, 코로나 뉴노멀시대에 급증하고 있는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사회복지 (가족,청소년)상담 인재를 양성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 및 가족에 대한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상담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추어가는 학과입니다.

교육목표
가.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‘사회복지 + 가족상담 + 평생교육 + 청소년상담’ 전문가로서의 경쟁력있는 실무능력 배양
나.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/ 청소년 상담 / 가정폭력 / 건강가정 / 정신건강 / 의료 /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상담영역에서 특화된 사회복지 (가족)상담 인재 양성
나.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/ 청소년 상담 / 가정폭력 / 건강가정 / 정신건강 / 의료 /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상담영역에서 특화된 사회복지 (가족)상담 인재 양성
다. 상담과 정책 및 행정 그리고 경영의 종합적이며 세분화 및 전문화된 실무능력을 갖추어 창의적이고 협력적이며 진취적인 실무능력 배양
학과특징
가. ‘사회복지+가족상담+평생교육+청소년상담’ 교육과정으로 사회복지현장 종사자들의 ‘개별+가족+집단+지역사회’ 통합 사례관리 실천 능력 배양
나. '학업+자격증+취업'의 선 순환적 구도 체제 활성화
다. 'ON+OFF' 학생-학교-현장 통합 교육 시스템 및 차별화된 교육과정
졸업 후 진로
가. 정신건강, 의료,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, 복지관련 기관 사례관리 실천 및 상담 영역에서 특화된 사회복지 + (가족,청소년)상담 인재로 활동
나. 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상담(가족상담) 대학원 진학
다. 공무원 - 시청 및 구청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
라. 의료기관 - 의료기관에 일반 의료사회복지사로 활동, 일정기간 수련 후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 활동
마. 학교 - 학교사회복지사로 활동
바. 일반기업체 - 노무관리, 인력관리, 사내평생교육담당
사. 사회복지 시설경영